고주파 열응고술

고주파 열응고술

From Dr Shin Spine Clinic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search
Cistern (Talk | contribs)
(새 문서: 고주파 열응고술 정의<br>바늘의 끝으로만 고주파가 전달되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바늘을 이용하여 고주파를 방출하여 주위 신경조직에 …)
Newer edit →

Revision as of 08:38, 18 November 2009

고주파 열응고술

정의
바늘의 끝으로만 고주파가 전달되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바늘을 이용하여 고주파를 방출하여 주위 신경조직에 열을 발생시켜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흥분된 상태에 놓여있는 신경 부위를 응고시키는 방법이다. 물론 이때 운동신경의 응고는 피하면서 통증을 전달하는 감각신경만을 선택적으로  응고시킨다. 일단, 병적 신경이 신경차단술을 통하여 확정되면 장기간의 통증 강화를 위해 행하는 시술로 과거의 수술방법보다 비침습적 방법으로 척추통증을 최소할 수 있는 최신방법이다. 따라서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 통증을 조절할 수 있고, 장기간의 통증완화와 삶의 질을 높힐 수 있는 통증치료 기술이고 최근 미국, 유럽등지에서도  각광받고 있는 최첨단 치료의료 기술인 것이다.

적응되는 질환
척추후 관절증에 의한 허리통증
척추 신경근증에 의한 허리통증
허리 디스크에 의한 통증
대상포진에 의한 통증
얼굴의 삼차 신경통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 버거씨병
꼬리뼈 및 회음부 통증
암성통증
다한증
퇴행성 요추증
수술후 지속되는 요통, 경부통증
늑간 신경통
어깨통증
경추성 상완통
경추성 후두통

시술방법
전신마취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먼저 시험적 신경차단 치료를 하여 효과를 판정한 후 고주파 열응고 치료를 하면 된다. 방사선 투시하에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부위를 확인하여 특수하게 절연된 바늘을 찔러 신경부위에 위치시키고 섭씨 80도 정도의 고온에서 90초에서 120 초 정도 동안 해당 신경을 응고시키는 것이다.

장점
최소  침습적 방법이다.
병변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기 쉽다.
환자와 대화를 하면서 조직의 지속적인 저항과 온도의 감시가 가능하다
병소를 만드는 온도의 섬세한 조절이 가능하다.
다양한 전극이 개발되어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운동신경과 고유감각 신경섬유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수기가 간단, 안전, 쉽게 반복할 수 있으며 비용-효율면에서 우수하고, Pulsed RF와 같은 새로운 방법이 계속 개발되므로  더욱 많은  난치성 통증 질환에 적응할 수 있다. 

환자 선택
반복적 진단 목적의 신경차단술에 반응이 좋은 환자
스테로이드 등으로 일시적으로 신경차단술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비파괴적 보존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심리적으로 약물 의존성이 없는 환자

합병증
신경 차단 수기와 관련된 기계적 손상이 있을 수 있다.
흉막 천자나 신경 손상이 있을 수도 있다.
일시적으로 수술 후 신경염과 같은 증상이나 원치않는 감각 손상이 있다.

치료 시 주의사항
치료전 최소 5일정도 아스피린 계통의 약 복용 중지
치료전 진통제 복용 중지
시술전 6시간 금식

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Radionics RF lesion generator.
[관련자료]
Saal JS, Fanson RC, Dobrow R: High levels of inflammatory phopholipase A2 activity in lumbar disc herniations. Spine, 474-78, 1990
Schwarzer AC, Aprill CN, Derby R: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sc and zygapophysial joint in chronic low back pain. Spine, 801-06, 1994
Van Kleef M, Liem L, Lousberg R: Radiofrequency lesion adjacent to the dorsal root ganglion for cervicobrachial pain: A prospective double blind randomized study. Neurosurgery, 1127-3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