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검진법

영상 검진법

From Dr Shin Spine Clinic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Jump to: navigation, search
(척수조영술(마이엘로그람, Myelogram))
Line 12: Line 12:
== 척수조영술(마이엘로그람, Myelogram)  ==
== 척수조영술(마이엘로그람, Myelogram)  ==
-
요추천자(lumbar puncture)로 척수경막을 뚫고 조영제라는 물질을 주입한 단순방사선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자기공명영상검사가 나와서 시행횟수가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특수한 경우에는 높은 진단적 가치가 있다.  
+
척수조영술 (myelogram)은 요추 또는 경추 천자 경막 (dural sac) 내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방사선조영기로 촬영하면서 척추강 내의 병변을 확인하는 영상검사이다. 경막 내로 주입된 조영제가 확산되는 형태와 채워지지 않는 모양을 분석하여 병변을 간접적으로 해석한다. 경막 외부 병변인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뿐만 아니라 경막 내부 병변인 거미막염 (arachnoiditis), 척수손상, 거미막낭종, 척수종양을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척수조영술은 CT나 MRI가 나오기 전까지는 시상 (sagittal) 및 관상 (coronal) 모양을 확인할 있고 척추관이 좁아진 정도나 추간판전위에 의해 신경근이 압박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CT나 MRI 로 대부분 대체되어 그 사용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MRI를 촬영할 수 없는 심박동기, 뇌심부자극기 또는 청력 보조기 이식환자나 방사선이나 자기장에 영상이 심하게 왜곡되는 금속 기기가 이식된 경우에 여전히 그 유용함이 있다. 또한 CT나 MRI로 통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 드물게는 척수조영술로 그 원인이 밝혀지기도 한다. 척수조영술 단독으로 시행되기도 하지만, 척수조영술 후 CT촬영을 하여 보다 정밀한 정보를 얻을 있다. 검사는 방사선조영실에서 환자를 방사선조영기 위에 옮겨 측와위를 취하게 한다. 환자는 측방을 보면서 다리는 오무리게 하여 요추의 가시 돌기 사이 간격을 넓혀 요추 천자를 좀더 안전하게 하기 위함이다. 천자는 추간판 퇴행성 변화가 자주 관찰되는 요추 4-5-천추 1번 구간과 척수가 있는 구간은 피해 요추 2-3-4 구간을 천자하는 것이 권장되나 환자에 따라 그 위치는 다를 있다. 천자 후 뇌척수액을 확인한 다음 조영제를 주입하고 환자의 허리를 펴게 한 다음 방사선조영기 침대를 회전하여 머리 쪽을 내려 4~6분 유지한 다음 다리 쪽을 내려 다시 4~6분간 유지한다. 다시 침대를 수평으로 하여 4~6분 간 유지하여 조영제가 골고루 퍼지게 한다. 이어서  X-ray를 촬영하고, 이어서 CT를 촬영한다. 과거에 사용되던 유제 조영제 (oil based dye) 는 검사 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현재 널리 사용되는 조영제는 대부분 친수성 제제 (water-based dye) 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시술은 대부분 외래 형태로 이루어지며 검사를 맞친 환자는 일정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한 뒤 귀가 조치된다. 환자는 일정 기간 동안 격렬한 동작이나 무거운 물건 들기는 금지된다. 드물게 뇌척수액루에 의한 두통이 있으나 대부분 자연 소실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가혈액패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척수조영술은 실시간으로 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고, CT나 MRI가 보여주지 못하는 병변을 찾아줄 수 도 있는 장점이 있지만, 조영제를 주입하기 위해 경막을 천자해야하고, 독성이 있을 수 있는 조영제를 사용해야하며, 방사선조영기로 방사선 피폭이 일어나는 침습적 특징이 있어 척추 병변을 찾기 위한 1차 검사로는 권장되지 않는다.
-
 
+
-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누워서 요추 천자를 한 다음 조영제라는 물질을 주입하게 된다. 요추 천자는 잘 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잘 안되면 요통이 심할 수 있다. 또 신경근을 찌르는 경우 심한 방사통이 생길 수 있는데 대개 일 후면 소실이 된다. 요추 천자 중에 뇌척수액이 많이 새는 경우 심한 두통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 똑바로 누워서 수액을 투여받는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
-
 
+
-
또 방사선이 투과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한 조영제라는 약물은 10만 명 중 1명 꼴로 과민반응이 있을 수 있다. 가볍게는 오심과 구토에서 시작하여 아주 심하게는 신부전이나 쇼크로 심정지가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런 일은 매우 드물다. 하지만 이런 합병증이 있으므로 반드시 동의서를 받고 시행하는 것이다.  
+
-
 
+
-
<br>척수조영술.  
+
-
 
+
-
척수조영술과 함께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은 진단적 가치가 높다.
+
== 추간반조영술(디스코그람, Discogram)  ==
== 추간반조영술(디스코그람, Discogram)  ==

Revision as of 14:03, 19 May 2013

Contents

단순방사선 촬영(엑스레이, X-ray)

흔히 엑스레이 검사(X-ray)라고 하는 것인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이다. 주로 뼈를 보는 검사로 이것을 통해서 척추의 모양과 배열 등을 볼 수 있다. 척추가 부러지는 척추 골절이나 척추가 휘는 측만증 등은 이 검사를 통하여 진단할 수 있다.


단순방사선 촬영. 엑스레이는 뢴트겐이라는 독일인이 1895년에 발견한 것이다.

사면 촬영(oblique view)에서 강아지 모양의 구조(Scotty dog sign)가 보인다(화살표). 요추 엑스레이 검사 중에서 사면검사(oblique view)라는 것을 보면 척추의 가시돌기, 후궁, 협부, 후관절, 추경, 평행관절로 이루어진 강아지 모양의 구조가 보인다. 이중에서 협부가 부러지거나 결손이 일어나면 스코틀랜드 강아지 징후(스카티 독 사인, Scotty dog sign)이라고 해서 강아지에 목줄을 한 것처럼 보이게 된다. 누가 지었는지 모르지만 재미있는 이름이다.

척수조영술(마이엘로그람, Myelogram)

척수조영술 (myelogram)은 요추 또는 경추 천자 후 경막 (dural sac) 내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방사선조영기로 촬영하면서 척추강 내의 병변을 확인하는 영상검사이다. 경막 내로 주입된 조영제가 확산되는 형태와 채워지지 않는 모양을 분석하여 병변을 간접적으로 해석한다. 경막 외부 병변인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뿐만 아니라 경막 내부 병변인 거미막염 (arachnoiditis), 척수손상, 거미막낭종, 척수종양을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척수조영술은 CT나 MRI가 나오기 전까지는 시상 (sagittal) 및 관상 (coronal) 모양을 확인할 수 있고 척추관이 좁아진 정도나 추간판전위에 의해 신경근이 압박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CT나 MRI 로 대부분 대체되어 그 사용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MRI를 촬영할 수 없는 심박동기, 뇌심부자극기 또는 청력 보조기 이식환자나 방사선이나 자기장에 영상이 심하게 왜곡되는 금속 기기가 이식된 경우에 여전히 그 유용함이 있다. 또한 CT나 MRI로 통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 드물게는 척수조영술로 그 원인이 밝혀지기도 한다. 척수조영술 단독으로 시행되기도 하지만, 척수조영술 후 CT촬영을 하여 보다 정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검사는 방사선조영실에서 환자를 방사선조영기 위에 옮겨 측와위를 취하게 한다. 환자는 측방을 보면서 다리는 오무리게 하여 요추의 가시 돌기 사이 간격을 넓혀 요추 천자를 좀더 안전하게 하기 위함이다. 천자는 추간판 퇴행성 변화가 자주 관찰되는 요추 4-5-천추 1번 구간과 척수가 있는 구간은 피해 요추 2-3-4 구간을 천자하는 것이 권장되나 환자에 따라 그 위치는 다를 수 있다. 천자 후 뇌척수액을 확인한 다음 조영제를 주입하고 환자의 허리를 펴게 한 다음 방사선조영기 침대를 회전하여 머리 쪽을 내려 4~6분 간 유지한 다음 다리 쪽을 내려 다시 4~6분간 유지한다. 다시 침대를 수평으로 하여 4~6분 간 유지하여 조영제가 골고루 퍼지게 한다. 이어서 X-ray를 촬영하고, 이어서 CT를 촬영한다. 과거에 사용되던 유제 조영제 (oil based dye) 는 검사 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현재 널리 사용되는 조영제는 대부분 친수성 제제 (water-based dye) 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시술은 대부분 외래 형태로 이루어지며 검사를 맞친 환자는 일정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한 뒤 귀가 조치된다. 환자는 일정 기간 동안 격렬한 동작이나 무거운 물건 들기는 금지된다. 드물게 뇌척수액루에 의한 두통이 있으나 대부분 자연 소실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가혈액패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척수조영술은 실시간으로 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고, CT나 MRI가 보여주지 못하는 병변을 찾아줄 수 도 있는 장점이 있지만, 조영제를 주입하기 위해 경막을 천자해야하고, 독성이 있을 수 있는 조영제를 사용해야하며, 방사선조영기로 방사선 피폭이 일어나는 침습적 특징이 있어 척추 병변을 찾기 위한 1차 검사로는 권장되지 않는다.

추간반조영술(디스코그람, Discogram)

국소마취 상태에서 추간반에 바늘을 찔러 조영제를 주사한 후 추간반의 모양을 보면서 요통이나 하지 방사통을 유발시켜보는 검사이다. 추간반에 조영제가 들어오면 압력이 증가하여 추간반이 팽륜하게 되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증상이 유발되면 양성인데, 여러 개의 추간반에 퇴행성변화가 있는데 현재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어느 것인지 모를 때와 추간반 내장증의 진단에 유용한다.


디스코그람. 하얗게 보이는 것이 주입된 조영제이다.

컴퓨터단층촬영(씨티, CT)

엑스레이에서 한단계 발전한 것으로 엑스레이를 360도로 쏘여서 데이터를 읽은 다음 2차원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인데 몸의 단면을 볼 수 있다. 허리에서는 주로 단단한 구조물이 뼈나 석회화된 구조물을 보는데 이용된다. 척주강협착증, 척추전위증 등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또 필요한 경우 척추조영술과 컴퓨터단층촬영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높은 진단적 가치가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검사. 컴퓨터 단층촬영검사 장비

튀어나온 디스크(화살표)

자기공명영상검사(엠알아이, MRI)

현재까지 개발된 검사 중 가장 정확한 검사이다. 컴퓨터단층촬영보다 해상도가 더 높고 연부조직이 매우 잘 보이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뼈나 석회화된 구조물을 보는 데에는 컴퓨터단층촬영보다 쉽지가 않아서 컴퓨터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검사 중 필요한 검사를 적절하게 사용하게 된다. 현재 보험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비싸다.



자기공명영상검사. 자기공명영상검사 장비. 한대 가격이 수 십 억원이다

적외선체열검사(DITI)

체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장비로 통증이 생기는 부위에는 다른 부위와 온도가 다른 냉감이나 열감과 같은 현상이 잘 발생하는데 이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증이라는 것은 주관적인 것으로 환자가 어디가 아프다라고 하는 주관적 주장에 많이 의존된다. 적외선체열검사는 이런 주관적인 통증을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장비로서 효용가치가 높다.

예로부터 다리가 시리다라는 표현을 써왔는데 시리다라는 것은 차갑다라는 뜻이 포함되었는데 실제로 적외선체열검사를 해보면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의 온도가 떨어져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근전도 검사(EMG, electromyogram)

근육으로 가는 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보는 검사인데 추간반 탈출증에 의하여 신경근이 자극받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이다. 하지만 증상이 어느 정도 지속되어야지(최소 2주 이상) 검사가 가능하며 특이도는 높지만 민감도는 높지 않은 검사이다. 근력약화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근전도 검사의 모식도.

손상받은 신경은 근전도가 느려지게 된다.